틀을 깨는 기발한 수학

벡터 내적

삼각함수의 합성과 벡터 내적

바보수학자 2022. 7. 10. 00:28
728x90

  벡터 내적을 이용하여 삼각함수 합성

$$a\cos \theta + b \sin \theta = (a, b) \cdot (\cos \theta, \sin \theta)$$

삼각함수의 합성을 벡터의 내적으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다.

일반적이 삼각함수의 합성은 이 번 포스팅에서는 다루지 않겠다. 이 블로그의 주제는 "다르게 생각하기"이기 때문이다.

 

일반적인 삼각함수의 합성보다는 벡터의 내적을 이용하는 방법이 조금 더 직관적이라 할 수 있다. 왜냐면 삼각함수의 합성을 기하학적으로 접근하기 때문이다.

 

 

벡터의 내적의 기하학적 의미

 

점 P 가  어두운 영역에서 움직일 때

 

$$ \overline{\textrm{OT}}\times \overline{\textrm{OB}}\leq \overrightarrow{\textrm{OP}}\cdot \overrightarrow{\textrm{OB}} \leq \overline{\textrm{OH}}\times \overline{\textrm{OB}} $$

 

 

 

예제를 보면서 살펴보기로 하자.

 

 

Example 1

$0 \leq x \leq \pi$ 일 때 $y=\sqrt{3} \sin x + \cos x $ 의 최댓값, 최솟값을 구하여라.

[solve]  $(\sqrt{3}, 1) \cdot (\cos x, \sin x)$에서 점 $P\ (\cos x, \sin x)$ 는 반지름이 1인  반원 위의 점이다. 

 

$$-|\overrightarrow{  OH  }  | |\overrightarrow{  OA  }  | \leq  \overrightarrow{  OP  } \cdot \overrightarrow{  OA  } \leq  |\overrightarrow{  OC  }  | |\overrightarrow{  OA  }  |$$

$-\displaystyle\frac{\sqrt{3}}{2}\times 2 \leq \overrightarrow{OP} \cdot \overrightarrow{OA} \leq 1 \times 2$

최솟값은 $-\sqrt{3},$  최댓값은 $2$ 가 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나만의 수학 비법

 

 

Example 2

닫힌구간 $\left [\displaystyle\frac{\pi}{6}, \displaystyle\frac{5}{6}\pi  \right ]$ 에서  $f(x)=\sqrt{3} \sin x + \cos x +1$ 의 최댓값을 $\textrm{M}$ , 최솟값  $m$ 이라 할 때, $\textrm{M}+m$ 의값을 구하여라. [2012년 6월 평가원]

[solve] $f(x)=(\cos \theta, \sin \theta) \cdot (1, \sqrt{3})+1$ 이고 점 P는 호CD 위에서 움직인다. 

$$0 \leq  \overrightarrow{  OP  } \cdot \overrightarrow{  OA  } \leq  |\overrightarrow{  OB  }  | |\overrightarrow{  OA  }  |$$

$0 \leq \overrightarrow{OP} \cdot \overrightarrow{OA} \leq 1 \times 2$

$f(x)= \overrightarrow{  OP  } \cdot \overrightarrow{  OA  }+1$에서

최솟값 $m=1, $   최댓값 $\textrm{M}=3$ 이 된다.  $\therefore \;\textrm{M}+m=4$

 

 

 

 

Example 3
두 함수 $f(x)=\displaystyle\frac{1}{x+2},$  $g(x)=\sqrt{3} \sin x - \cos x$ 에 대하여 닫힌구간 $\left [0, \pi \right ]$에서 함수 $y=f(g(x))$ 의 최댓값을 구하여라. [2008년 평가원]

[solve] $g(x)=(\cos \theta, \sin \theta) \cdot (-1, \sqrt{3})$ 이고 점 P는 호CD 위에서 움직인다. 

$$-|\overrightarrow{  OH  }  | |\overrightarrow{  OA  }  | \leq  \overrightarrow{  OP  } \cdot \overrightarrow{  OA  } \leq  |\overrightarrow{  OB  }  | |\overrightarrow{  OA  }  |$$

$-\displaystyle\frac{1}{2}\times 2 \leq \overrightarrow{OP} \cdot \overrightarrow{OA} \leq 1 \times 2$  $ \left (\because \angle \textrm{DOH}  =\displaystyle\frac{\pi}{3}\right )$

$g(x)=t$ 로 치환하면 

$f(t)=\displaystyle\frac{1}{t+2} \left ( -1 \leq t \leq 2 \right )$ 에서

$t=-1$  에서 최댓값  $1$ 을  갖는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